GPS 조작 방지, STI 블록체인 위치 증명 기술 발표

GPS 조작 방지, STI 블록체인 위치 증명 기술 발표
플랭크

GPS 조작 방지, STI 블록체인 위치 증명 기술 발표
출처: 코인투데이
- STI, 블록체인과 RF 신호 결합 PoL 기술로 GPS 위·변조 문제 해결 - 위치 데이터 보안 향상… 물류·금융·IoT 등 다양한 산업에 활용 기대 16일(현지시각) 외신 매체 코인월드(Coin World)에 따르면, 스페이스 텔레커뮤니케이션스(Space Telecommunications Inc., 이하 STI)가 GPS 취약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블록체인 기술 기반의 위치 증명(Proof-of-Location, PoL)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발표는 GPS 데이터의 위·변조 문제를 완화하고, 다양한 산업 분야에 적용 가능한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PoL 시스템은 기존 GPS의 취약점인 데이터 위·변조와 위치 정보 조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계됐다. 그 배경에는 가상 GPS, VPN 등을 이용한 위치 조작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배달 서비스가 오작동하거나 규제 산업의 비효율이 발생하는 등 다양한 사회적 문제가 대두됐다. STI는 PoL 기술에 무선 주파수(RF) 신호를 활용한 독자적 기법을 도입했다. '핑퐁(PING-PONG)' 방식과 '에코(ECHO)' 신호로 각 장치 간의 신호 왕복 시간을 측정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삼각 측량을 활용해 정확한 위치를 산출한다. 위치 검증 결과는 블록체인에 기록되어 위·변조 없이 신뢰도 높은 데이터로 보관된다. STI는 이 기술로 가짜 위치 정보 제공을 막고, 위치 기반 서비스의 신뢰도를 크게 향상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PoL 기술은 물류·사이버 보안·금융·사물인터넷(IoT) 등 여러 산업으로 확장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어 물류에서는 화물의 실시간 위치 추적과 데이터 무결성 보장으로 공급망 관리를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금융 산업에서는 고액 거래 실행 시 특정 지역에서만 접근하도록 제한해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IoT 기기의 경우, 해킹 시 위치 데이터를 무효화해 악의적 사용을 방지하는 데 쓰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STI는 PoL 시스템을 자사의 '스페이스코인(Spacecoin)' 프로젝트와 결합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계획이다. 스페이스코인은 위성을 활용해 인터넷이 제한된 지역에서도 전 세계 인터넷 접속을 가능하게 하는 글로벌 연결 프로젝트다. STI는 이미 지난 12월에 첫 위성을 발사했다. 나아가 올해 10월에는 추가 위성 발사가 예정되어 있다. STI는 이러한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기술 혁신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블록체인 기반 위치 증명 기술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에서도 관련 프로젝트들의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최근 퍼지 펭귄(Pudgy Penguins)(PENGU) 같은 디지털 자산의 거래량이 -36.851% 감소했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블록체인 생태계의 기술 혁신을 촉진하는 새로운 금융 흐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본다. PoL 기술이 적용된 시스템의 성공 여부에 따라 시장의 반응이 확연히 달라질 것으로 전망된다.
기사 정보
카테고리
심층 분석
발행일
2025-07-16 19:14
NFT ID
PENDING
뉴스 NFT 상세

최신소식을 메일로 받아보세요.


추천 뉴스

회사소개

 | 광고/제휴 문의 |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