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웹3 급부상, 블록체인 투명성 과제가 미래를 막나?

플랭크

30일(현지시각) 더 블록(The Block)에 따르면, 아시아가 웹3의 글로벌 중심지로 부각되고 있지만, 블록체인의 핵심 특성인 투명성이 오히려 기술 채택을 지연시키는 장애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에 따라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면서도 시스템 신뢰를 유지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적 해결책이 요구되고 있다.
아시아는 웹3 분야에서 혁신과 도입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한다. 탈중앙화 금융(DeFi), 무역, 데이터 관리 등 다양한 부문에서 블록체인의 가능성을 입증했다. 그러나 미드나잇 재단의 파미 시드(Fahmi Syed) 회장은 한 컨퍼런스에서 "블록체인의 지나친 투명성은 양날의 검"이라며, 이를 제어하지 못할 경우 대중적 채택이 지연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프라이버시 문제는 단순한 난관이 아니라 아시아 시장의 블록체인 생태계 발전을 위협하는 '잠자는 호랑이'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블록체인 기술은 본래 거래 기록을 전 세계 사용자들에게 공개해 투명성과 신뢰를 보장한다. 하지만 이러한 장점은 복잡한 프라이버시 문제도 동반한다. 예를 들어 개인의 금융 기록, 민감한 의료 데이터, 기업의 산업 기밀 등 다양한 정보가 공개될 위험이 있다. 이러한 점은 한국, 일본, 싱가포르 등 웹3 기술 선도국에서도 블록체인의 유용성에 대한 논의를 복잡하게 만든다. 특히 올해 기준 한국은 스테이블코인 거래량이 42조 원 이상에 달하는 등 대규모 생태계를 구축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라이버시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과제로 남아 있다.
기술적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 '영지식 증명(Zero-Knowledge Proofs)'이 주목받는다. 이 기술은 거래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고도 검증할 수 있게 만드는 고도화된 암호 기술이다. 따라서 블록체인 프라이버시 문제를 풀 핵심 열쇠로 평가된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기술 자체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으며, 각국의 규제 당국이 이를 수용하고 법적 지위를 명확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일본에서 일부 규제기관이 이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지만, 구체적인 조치는 아직 발표되지 않았다.
결국 점진적인 기술 발전과 더불어 규제 프레임워크가 블록체인의 장기적 성공에 핵심 변수로 작용한다. 아시아는 웹3 기술 도입에서 지속적인 성과를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투명성과 프라이버시라는 두 축을 균형 있게 해결하지 못할 경우, 블록체인이 기존 기술을 대체하는 핵심 인프라가 되는 과정은 지연될 수 있다.
최신소식을 메일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