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합법화 전환… 암호화폐 자산 보고 프레임워크(CARF) 도입의 의미와 영향


암호화폐 합법화 전환… 암호화폐 자산 보고 프레임워크(CARF) 도입의 의미와 영향
출처: 코인투데이
- 전 세계 암호화폐 규제 본격화 - 시장 투명성 강화와 안정성 기대 5일(현지시각)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글로벌 암호화폐 산업 규제가 '암호화폐 자산 보고 프레임워크(CARF)' 도입과 함께 본격화됐다. CARF는 암호화폐 시장의 자유로운 익명 거래 시대가 막을 내리고, 거래 투명성이 강제되는 새로운 규제 체계를 의미한다. CARF는 전 세계적으로 암호화폐 거래 데이터를 통합하고 세금 보고 표준을 마련하기 위해 설계됐다. 따라서 암호화폐 플랫폼과 거래소는 이제 사용자 거래를 거의 실시간으로 보고해야 할 의무를 진다. 이 규제가 시행되면 탈중앙화 거래소와 비수탁 서비스까지 모두 규제 대상에 포함된다. 그 결과 암호화폐 산업의 구조가 근본적으로 재편될 전망이다. 하지만 초기에 CARF 도입으로 인한 과도기적 혼란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일부 거래소와 플랫폼은 규제 준수에 필요한 기술 및 인프라 투자 부담과 운영 재정비에 직면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일부 서비스는 철수를 선택할 가능성도 제기됐다. 특히 규제 부담이 상대적으로 큰 소규모 플랫폼은 시장 경쟁에서 살아남기가 더욱 어려워질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CARF 도입은 암호화폐 시장의 안정성과 전문화를 촉진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전 세계 세금 보고 기준의 표준화는 오랫동안 시장을 억눌렀던 규제 불확실성을 줄인다. 또한, 기관 투자자들의 유입을 가속화할 것이다. 대규모 자본이 진입하면 암호화폐 시장의 가격 변동성이 완화될 가능성도 커진다. 이에 따라 규제를 선제적으로 받아들인 플랫폼과 기업이 경쟁 우위를 차지하면서 시장은 보다 성숙한 단계로 넘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CARF에는 60개 이상의 국가가 동참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영국과 유럽연합은 2026년 1월부터 규제를 시행할 준비 중이다. 반면,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홍콩, 미국 등은 조금 더 늦은 2028년부터 CARF를 도입할 계획이다. 이는 암호화폐 과세 정보의 국제적 공유가 본격화됨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글로벌 규제 체계 내 암호화폐 시장의 입지가 강화될 전망이다. 올해 7월 5일(UTC) 16시 8분 기준, 주요 스테이블코인인 테더(USDT)는 24시간 기준 0.02% 하락한 1달러로 거래되고 있다. 하루 거래량은 전날 대비 24.6% 감소한 448억 4571만 3995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규제 발표 이후 시장의 긴장감과 불확실한 반응을 그대로 보여주는 지표로 해석된다.
기사 정보
카테고리
시장
발행일
2025-07-05 16:14
NFT ID
PENDING
뉴스 NFT 상세

최신소식을 메일로 받아보세요.


추천 뉴스

회사소개

 | 광고/제휴 문의 |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