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50% 관세와 연준 논란… 트럼프 경제 정책, 불확실성 증폭

폴

- 케빈 하셋 경제 고문, "트럼프 대통령, 정당한 이유 있으면 파월 해임 가능" 발언
- 브라질·구리 관세 부과 등 무역 정책 논란…경제적 영향 우려 확산
13일(현지시각) ABC 방송과 월스트리트 저널(The Wall Street Journal, WSJ)에 따르면, 트럼프(Trump) 행정부가 연준(Fed) 통화 정책과 무역 정책을 둘러싸고 공세적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행보는 경제적 불확실성을 키운다.
13일 케빈 하셋(Kevin Hassett)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Council of Economic Advisers)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이 "정당한 사유가 있다면 제롬 파월(Jerome Powell) 연준 의장을 해임할 권한이 있다"고 언급해 논란에 불을 지폈다. 이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이 연준의 고금리 정책을 지속적으로 비판해 온 가운데 나왔다. 따라서 연준과 행정부 간 긴장이 고조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특히 트럼프 행정부는 연준이 추진 중인 25억 달러 규모 본사 개조 프로젝트에 대해 강한 의문을 제기하며 파월 의장을 압박한다. 하셋 위원장은 이 프로젝트에 대한 조사 결과가 파월 의장 해임의 근거가 될 수 있음을 암시했다.
한편, 관세 부과와 관련된 무역 정책에서도 행정부의 강경 노선은 분명해졌다. 올해 8월1일부터 캐나다, 유럽연합(EU), 멕시코, 브라질 등 주요 교역 대상국에 새로운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다. 하셋 위원장은 이번 관세 조치가 미국에 더 유리한 경제 조건을 확보하기 위한 협상 전략의 일부라고 설명했다.
특히 브라질 제품에 부과된 50% 관세가 주목받는다. 이 조치의 배경에 브라질 전 대통령 자이루 보우소나루(Jair Bolsonaro)에 대한 사법 조사와 관련된 정치적 동기가 있다는 분석이 나오며 논란은 더욱 커지고 있다. 하셋 위원장은 이러한 분석을 직접 부인하지 않았다. 오히려 이번 조치가 미국 내 생산 확대를 목표로 한 장기적인 경제 안보 전략의 일부라고 강조했다.
구리 수입품에 대한 50% 관세 역시 논란을 증폭시킨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이 조치가 주요 산업의 생산 비용 상승으로 이어져 미국 제조업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구리를 주요 원료로 사용하는 항공기와 전자제품 생산업체들이 직격탄을 맞을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하지만 하셋 위원장은 국내 구리 공급망 안정화와 국가 비상사태 대비를 위해 관세 부과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비트코인 시장 역시 이번 관세 부과 발표 이후 주목받는다. 암호화폐 시장의 대표 주자인 비트코인(BTC)은 13일(UTC) 기준 코인마켓캡(CoinMarketCap)에서 0.5% 하락하며 3만200달러에 거래됐다. 24시간 거래량 변동률은 -3.2%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관세 정책이 원자재 시장에 미친 영향이 암호화폐 시장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연준의 통화 정책과 주요 교역 대상국을 겨냥한 관세 부과 정책으로 미국 경제 주도권을 확보하려 한다. 하지만 이로 인한 경제적 불확실성과 정치적 논란은 앞으로도 큰 과제로 남을 전망이다.
최신소식을 메일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