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일 자동차 관세, 25%→15% 인하… 5000억 달러 경제 협력, 양국 관계 강화


미일 자동차 관세, 25%→15% 인하… 5000억 달러 경제 협력, 양국 관계 강화
출처: 코인투데이
- 미국과 관세 10%p 낮추기로 합의 - 5000억 달러 투자와 금융 보증… 경제 협력 확대 23일 NHK 월드(NHK World)에 따르면 일본과 미국이 자동차 수입 관세를 기존 25%에서 15%로 낮추는 데 합의했다. 또한, 일본은 미국 경제를 지원하기 위해 5000억 달러(약 80조 엔) 규모의 대출 및 투자 보증을 제공하기로 발표했다. 이를 통해 양국 간 경제 협력은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이번 관세 인하 합의는 양국 자동차 산업에 중대한 변화를 예고한다. 일본 경제재생상 아카자와 아키마사는 "트럼프(Trump) 대통령이 행정명령을 통해 관세 인하를 즉각 발효해 주길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는 서면 협약 지연 시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를 반영한 것이다. 반면, 이시바 시게루 총리를 포함한 일본 정치권 주요 인사들은 "정확한 해석을 위해 공고화된 서면 합의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신중한 접근을 강조했다. 특히, 일본이 밝힌 50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경제 협력은 무역 투자 확장과 미국 내 기업 지원을 목표로 한다. 아카자와 장관은 “이번 자금 지원을 통해 일본은 관세 인하로 발생하는 경제적 손실을 일부 상쇄하고, 동시에 대출 이자 수익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며 양국이 상호 이득을 얻는 방안임을 설명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일본의 대규모 자금 지원을 “특별 보너스”라 칭하며 환영했다. 하지만 자금의 사용 목적과 방식에 대해서는 양국 간 미묘한 입장 차이가 있다. 일본은 이 자금이 미국 내 민간 기업으로 흘러가 새로운 투자 기회와 경제적 안전망을 제공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실질적인 운영 방식은 여전히 명확하지 않다. 이번 합의는 증권시장에도 즉각적인 영향을 미쳤다. 일본의 주요 자동차 기업인 도요타(Toyota)와 혼다(Honda)의 주가는 각각 3.8%, 4.1% 상승했으며, 닛산(Nissan) 역시 3.5%의 상승률을 보였다. 전문가들은 미국 내 차량 판매 가격 경쟁력 상승이 투자 심리를 자극한 것으로 본다. 다만, 같은 자동차 업종의 한국 기업들은 새로운 관세 환경에서 상대적으로 불리해질 가능성이 있어 긴장감을 드러낸다. 미일 합의는 자동차 관세 인하와 대규모 경제 협력을 통해 양국의 경제적 유대를 한층 심화시킨다. 더불어 자동차 산업과 금융 시장의 파급 효과가 단기적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번 협상이 글로벌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진다.
기사 정보
카테고리
시장
발행일
2025-07-31 20:14
NFT ID
PENDING
뉴스 NFT 상세

최신소식을 메일로 받아보세요.


추천 뉴스

회사소개

 | 광고/제휴 문의 |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