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골라, 불법 채굴장 무더기 적발… 9740만 달러 몰수

폴

- 정부-인터폴 협력으로 대규모 불법 채굴 조직 단속
- 중국 국적자 60명 체포, 암호화폐 시장 영향 촉각
22일(현지 시각) 인터폴(INTERPOL)에 따르면, 앙골라 당국은 ‘세렝게티 2.0’ 작전을 통해 불법 암호화폐 채굴장을 대대적으로 단속했다. 이번 작전은 국제사회의 사이버 범죄 대응 강화 노력의 일환으로, 앙골라를 포함한 여러 국가에서 동시에 진행됐다. 앙골라 정부는 인터폴과 협력하여 불법 채굴 센터 25곳을 적발하고 9740만 달러를 회수했다.
단속된 시설들은 총 3700만 달러 상당의 장비를 사용해 국가 전력 시스템에 심각한 부담을 준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이번 단속에서는 중국 국적자 60명이 체포됐고, 전 세계적으로는 1209명이 검거됐다. 앙골라 정부는 암호화폐 채굴이 전력난을 심화시킨 중요한 원인이라고 지목했다. 따라서 지난해 4월부터 채굴을 전면 금지하는 규제 정책을 시행했다. 이와 함께 채굴 장비 몰수와 최대 5년 이하 징역형을 포함한 강력한 처벌도 도입했다.
암호화폐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작전이 비트코인 해시레이트 등 암호화폐 네트워크에 미치는 단기적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에너지 비용과 규제가 명확한 지역으로 채굴 기업들이 이전하는 흐름을 가속화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앙골라 사례는 세계 각국이 전력 문제를 고려해 채굴 규제를 강화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이는 다른 국가들의 암호화폐 정책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비트코인 앙골라 커뮤니티의 리더인 유클리드 마누엘(Euclides Manuel)은 이번 정부 조치가 "암호화폐 혁신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그는 "전면 금지 대신 채굴 산업 규제와 에너지 비용 청구를 도입했다면, 더 큰 경제적 이점을 확보하면서 전력 소비 문제도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앙골라 정부 정책에 대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앙골라 정부는 몰수한 불법 채굴 장비를 국가 전력 취약 지역에 배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한, 정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암호화폐 관련 불법 행위에 강경하게 대응하며 국가 전력난 해결과 경제 안정을 위한 노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신소식을 메일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