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반도체 육성 법으로 인텔 지분 매입… 89억 달러 규모

폴

- 트럼프(Trump) 행정부, 반도체 육성 법안 활용해 인텔(Intel) 지분 10% 확보
- 국부펀드 설립 신호탄… 중·국제 매출에 타격 우려
미국 정부는 25일(현지시각) 인텔 지분 약 10%를 89억 달러에 매입했다고 밝혔다. 이는 반도체 산업 육성을 목적으로 제정된 CHIPS(반도체 산업 육성 및 보호를 위한 법안) 자금을 활용한 것이다. 이번 조치는 트럼프 대통령이 기획한 국부펀드 설립과 대규모 반도체 전략의 초석으로 평가된다.
백악관은 이번 지분 매입이 미국 내 일자리 창출과 핵심 산업 육성을 위한 중요한 첫걸음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25일(현지시각)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국가의 안전과 경제를 위협받지 않도록 반도체를 비롯한 중요 자산을 보호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 주도로 이러한 거래를 지속 추진할 뜻을 내비쳤다.
25일(현지시각) 백악관 경제 고문 케빈 하셋(Kevin Hassett)은 별도 인터뷰를 통해 이번 투자가 국부펀드 설립의 첫 단계임을 분명히 했다. 그는 “이번 인텔 투자 결정이 국부펀드 설립의 첫 단계를 보여주는 실행 사례”라며, “기술 주권을 회복하고 미국의 핵심 산업 경쟁력을 높이는 데 더 강력한 자금 조달 체계를 만들려고 한다”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월 국부펀드 설립을 위해 행정명령에 서명한 바 있다.
그러나 인텔은 미국 정부의 대규모 지분 매입에 우려를 내비쳤다. 인텔은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서류에서 이번 결정이 회사의 주요 국제 매출, 특히 중국 시장에 잠재적 위험을 끼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해당 문서에 따르면 인텔의 2024년 전 세계 매출 중 약 76%가 해외에서 발생하며, 이 중 29%는 중국이 차지한다.
더구나 인텔은 정부가 시장가보다 낮은 할인가로 지분을 매입해 기존 주주의 지분 가치가 희석되는 부작용을 낳았다고 지적했다. 그럼에도 인텔은 미국 정부와 협력해 CHIPS 법안 목표 달성을 돕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를 통해 기업 간 긴장 관계를 일부 완화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 행보로 CHIPS 법안 기반의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와 국부펀드 설립의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 하지만 인텔의 반응에서 보이듯, 이번 조치가 국제 매출 손실과 기존 주주 반발 등 다각적인 갈등을 불러올 가능성이 제기된다.
최신소식을 메일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