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제재 복원, 우라늄 농축 갈등 심화


이란 제재 복원, 우라늄 농축 갈등 심화
출처: 코인투데이
- UN, 9월 27일부로 이란 제재 자동 복원(스냅백) 결정. - 서방, 고농축 우라늄 규탄 및 추가 협상 촉구…이란 강경 대응 예고. 27일(현지시각) 파이낸셜 타임스(Financial Times)에 따르면, 이날 자정을 기점으로 UN의 대이란 제재가 자동 복원됐다. 이는 이란이 유엔 핵합의(JCPOA)를 이행하지 않은 데 대한 대응이다. 영국, 독일, 프랑스(E3)가 이란의 핵 문제와 관련해 제재 복원을 요구하며 합의 내 '스냅백' 조항을 발동했기 때문이다. 스냅백 발동에 앞서 E3는 이란에 고농축 우라늄 비축량 해명,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 전면 재개, 미국과의 핵 협상 복귀를 요구했다. 그러나 이란은 이를 모두 거부했다. 결국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러시아와 중국이 주도한 제재 복원 저지 시도는 결의안 표결에서 부결돼 최종 무산됐다. 이에 따라 이란에 대한 대규모 경제적·군사적 제재가 효력을 회복하게 됐다. 이란 측은 즉각 반발했다. 마수드 페제시키안 이란 국회의장은 유엔 총회 연설에서 서방에 대한 불신을 드러냈다. 그는 서방이 제재를 실행한다면 "이란은 IAEA와의 협력을 중단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는 검토하지 않지만, 서방의 일방적 태도로는 신뢰를 쌓을 수 없다"고 발언했다. 한편,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이 최고지도자는 미국과의 협상을 전면 거부했다. 그는 이란의 핵 프로그램과 우라늄 농축 확대를 지속할 방침이라는 강경 입장을 다시 확인했다. 이번 사건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전 대통령이 2018년 JCPOA에서 일방적으로 탈퇴한 여파가 여전히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란은 이후 우라늄 농축 농도를 핵무기 제조 가능 수준에 근접한 60%까지 끌어올렸다. 이러한 활동은 서방 국가들의 심각한 우려를 키웠다. 특히 최근 이스라엘이 이란 핵시설을 공격하며 서방과 이란 간 간접 접촉마저 중단된 상황이다. 따라서 이번 스냅백 조치는 더욱 긴장된 국제 정세를 예고한다. 이란 정부는 이번 제재 복원이 "불법적"이며 근거 없다고 재차 강조하며 영국, 독일, 프랑스 대사를 긴급 소환했다. 또한 자국 내 반미 정서를 기반으로 국제 사회에서 서방권에 맞선 연대 강화를 호소한다. 한편, 27일 현재 암호화폐 시장에서도 동요가 포착된다. 이번 이란 제재 복원 소식으로 위험자산 회피 심리가 확산되면서 비트코인(BTC)은 전날 대비 2.37% 하락한 2만6500달러를 기록했다(코인마켓캡(CoinMarketCap) 기준). 암호화폐 시장의 전반적인 약세는 이란 관련 불확실성이 투자 심리에 영향을 미친 결과로 분석된다. 이번 스냅백 조치가 서방과 이란 간 대치 국면에서 어떤 역할을 할지 국제사회의 이목이 집중된다.
기사 정보
카테고리
시장
발행일
2025-09-27 18:19
NFT ID
PENDING
뉴스 NFT 상세

최신소식을 메일로 받아보세요.


추천 뉴스

회사소개

 | 광고/제휴 문의 |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