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미국산 LNG(액화천연가스) 몰린다… 장기계약 딜레마는?

폴

- 아시아 국가들, 미국과 관계 완화 위해 LNG 수입 확대
- 장기 계약 부담과 재생에너지 전환 지연 우려 부각
18일(현지 시각) 투데이에너지에 따르면, 일본, 한국, 베트남 등 아시아 주요국들이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수입을 확대한다. 이는 대미 무역 흑자를 완화하기 위한 움직임이다. 이러한 결정은 아시아 국가들에 전략적 선택이자 동시에 난제라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일본의 최대 전력 회사인 제라(JERA)는 대규모 계약을 체결했다. 2030년부터 20년간 연간 500만 톤 이상의 미국산 LNG를 확보하는 내용이다. 한국 역시 440억 달러 규모의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참여 가능성을 타진 중이다. 또한, 베트남은 미국 기업과 협력해 가스 수입 허브 건설 계약을 체결하는 등 다각도로 수입 확대를 꾀한다.
하지만 미국산 LNG 장기 수입 계약에는 구조적 리스크가 존재한다. 노르웨이 국제문제연구소는 "take-or-pay" 계약 형태를 문제로 지적했다. 이 계약은 수입국의 재정적 부담을 심화시키고,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전환을 지연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파키스탄의 사례가 이를 뒷받침한다. 높은 LNG 가격이 전력 수요 감소와 잉여 재고 문제로 이어져 경제적 손실을 야기했다.
크립토폴리탄(Cryptopolitan)에 따르면, 최근 국제 유가 상승세도 영향을 미친다. 브렌트유는 배럴당 69달러를 돌파했고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 가격도 67달러에 육박했다. 이는 견조한 미국 경제 지표와 공급 부족 우려가 이어진 결과다. 이러한 가격 동향은 아시아 국가들이 미국산 LNG로 전환해 협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려는 배경으로 작용할 수 있다.
분석가들은 아시아의 미국산 LNG 도입이 무역 불균형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기에는 부족하다고 평가한다. 오히려 이는 미국에 긍정적인 신호를 보내려는 제스처에 가깝다는 분석이다.
에너지 외교와 기술 전환이 세계적 화두로 떠오르면서, 아시아 국가들의 미국산 LNG 선택이 향후 에너지 산업 구조와 지정학적 관계에 미칠 영향이 주목된다.
최신소식을 메일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