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중국 압수 비트코인 활용… 웹3 시장 판도 바꿀까?

폴

- 홍콩, 압수된 가상 자산 유동화 통해 웹3 생태계 리더십 강화
- 글로벌 디지털 자산 시장에서 중국의 전략적 움직임 주목
2일(현지시각)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에 따르면, 홍콩이 중국 정부가 압수한 비트코인 등 가상 자산을 자국의 인가 거래소를 통해 유동화할 계획이다. 이는 글로벌 디지털 자산 시장에서 주도권을 강화하려는 전략으로, 미국을 포함한 주요 국가들에 중대한 지정학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움직임으로 평가된다.
홍콩 웹3 협회 공동의장 조슈아 추(Joshua Chu)는 이번 계획이 단순한 정책을 넘어선 중국의 전략적 행보라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 정부가 압수한 가상 자산을 홍콩에서 청산해 글로벌 디지털 자산 시장의 판도를 조절하려는 의지를 보인다고 설명했다. 결과적으로 중국은 이를 통해 미국과의 주요 경제적 경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려는 포석을 마련한다는 분석이다.
홍콩은 이미 암호화폐 규제 체제를 탄탄히 구축한 상태다. 2022년 개정된 자금세탁방지 및 테러자금조달방지 조례를 통해 암호화폐 거래소에 대한 라이선스 체계를 확립했다. 또한, 올해 8월1일부터 시행된 스테이블코인 관련 조례에서는 법정화폐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에 엄격한 규제를 적용한다. 이러한 규제는 시장 안정성과 투자자 보호를 동시에 확보하려는 홍콩의 의지를 보여준다.
더불어, 올해 6월 발표된 'LEAP 디지털 자산 정책 성명 2.0(LEAP Digital Asset Policy Statement 2.0)'에는 홍콩의 암호화폐 시장 경쟁력을 높이고 토큰화 서비스 확대를 위한 세부 계획이 담겼다. 이러한 규제 및 정책적 기반 위에서 홍콩이 중국의 가상 자산을 유동화하면, 글로벌 시장에서 가격 형성과 공급 조절에 막대한 영향력을 발휘할 것으로 예상된다.
조슈아 추는 중국의 암호화폐 유동화 전략이 과거 사례와 유사하다고 언급했다. 이는 2010년대 희토류 통제를 통해 미국과 경제적 협상에서 우위를 점했던 것과 같다는 설명이다. 그는 중국이 압수한 가상 자산을 단순히 비축하는 미국의 '보유 전용' 정책과 차별화한다고 밝혔다. 즉, 이를 적극적으로 유동성으로 전환함으로써 시장 주도권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략은 서방 국가들에게 새로운 과제를 제시한다. 이는 미국과 유럽 등 주요국들이 홍콩과 중국의 점진적 시장 확장에 대응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한편, 시장에서는 홍콩의 이러한 움직임이 암호화폐 시장의 유동성을 강화하고 디지털 자산 허브로서의 입지를 다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2일(UTC) 코인마켓캡(CoinMarketCap) 기준, 비트코인(BTC)은 24시간 동안 2.469% 하락한 11만2754.119 달러에 거래된다. 전체 시장 거래량 역시 28.551% 감소하는 등 약세가 이어진다. 홍콩의 유동화 전략이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을 어떻게 조절하고 새로운 균형을 가져올지 귀추가 주목된다.
중국의 이 같은 전략이 미국을 포함한 글로벌 디지털 자산 시장에 어떤 파장을 일으킬까? 향후 암호화폐 시장에서 주도권을 쥐게 될 플레이어는 누구일지 흥미롭게 지켜볼 일이다.
최신소식을 메일로 받아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