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수익 공유로 돌아온 엔비디아·AMD, 중국 AI 칩 시장 재진입


15% 수익 공유로 돌아온 엔비디아·AMD, 중국 AI 칩 시장 재진입
출처: 코인투데이
2025년 8월11일(현지시각) 트럼프(Trump) 전 미국 대통령이 엔비디아(Nvidia)와 AMD(Advanced Micro Devices)에 특정 AI 반도체를 중국에 수출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 단, 해당 매출의 15%를 미국 정부에 납부하도록 한 이 '수익 공유형 수출 허가' 조치는 미-중 기술 경쟁 상황에서 독특한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11일(현지시각) 파이낸셜타임스(Financial Times)와 블룸버그(Bloomberg)에 따르면, 이번 조치는 '수익 공유형 수출 허가'로 평가받는다. 이는 역대 행정부에서 채택하지 않았던 방식으로,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을 반영한 새로운 접근법이라는 분석이다. 수출이 허가된 제품은 엔비디아의 'H20'와 AMD의 'MI308' 모델이다. 이 두 모델은 본래 미국의 대중국 수출 규제를 피하고자 낮은 성능으로 설계됐다. 하지만 지난 4월 기술 경쟁이 격화되면서 수출이 전면 금지돼 중국 시장에서 퇴출 위기에 놓였다. 그러나 최근 미·중 간 긴장이 완화되면서 트럼프와 엔비디아의 직접 협상이 이뤄졌다. 그 결과, 상무부는 곧바로 수출 라이선스를 승인했다. 이에 따라 두 회사는 다시 중국 시장으로 복귀할 발판을 마련했다. 엔비디아 대변인은 "글로벌 시장과 미국 규정 사이에서 최선을 다할 것"이라는 원론적인 반응을 내놨다. 반면, AMD는 현재 공식 입장을 정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전문가들은 이번 조치를 트럼프 행정부 특유의 실리를 중시한 '거래형 규제'로 해석한다. 퀼터 쉐비엇(Quilter Cheviot)의 기술 분석가 벤 베린저(Ben Berringer)는 CNBC 인터뷰에서 "비록 15%의 수익을 내놓아야 하지만, 중국 시장에서의 기회비용을 감안할 때 이는 받아들일 만한 선택"이라고 말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를 '비공식 수출 관세' 형태로 규정하기도 한다. 이번 조치는 중국 AI 산업의 발전을 제한하면서도, 미국 기업에는 시장 기회를 제공하려는 이중적인 목적으로 평가받는다. 엔비디아와 AMD 제품의 수출 재개로 중국은 일부 첨단 AI 기술을 확보할 가능성이 커졌다. 반면, 수익 배분제는 중국 기업에 기술 비용 부담을 가중시키는 전략이기도 하다. 반면, 이번 조치에 대한 반대 의견도 적지 않다. 리자 토빈(Liza Tobin) 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관리자는 이번 조치가 경제적 이익에만 치중했다고 비판했다. 그는 "장기적 안보 우려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으며, 결국 중국의 AI 자립을 도울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엔비디아와 AMD의 중국 시장 진입을 허용하는 이번 합의는 미-중 기술 경쟁 속에서 미국 정부의 새로운 대응 방안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조치로 인한 기술 유출 및 경제적 부작용 가능성 역시 배제하기 어렵다. 트럼프 행정부가 보여준 '수익 공유형' 접근은 글로벌 기술 시장에서 어떤 장기적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기사 정보
카테고리
시장
발행일
2025-08-11 15:22
NFT ID
PENDING
뉴스 NFT 상세

최신소식을 메일로 받아보세요.


추천 뉴스

회사소개

 | 광고/제휴 문의 | 

이용약관 및 개인정보처리방침

 |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