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의장 후임 경쟁: 경제학자 82% 크리스 월러 지지, 정치가 변수

폴

- 경제학자 대다수는 크리스 월러를 선호했으나, 정치적 이유로 케빈 해셋이 유력 후보로 떠올라.
- 트럼프 전 대통령의 압박과 정치적 충성심 요구가 인선 과정의 핵심 변수로 작용.
28일(현지시각) 파이낸셜 타임스(Financial Times)에 따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차기 의장 인선을 둘러싼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시카고 대학 부스 경영대학원 클라크 글로벌 마켓 센터(University of Chicago Booth School of Business Clark Center for Global Markets)의 조사 결과, 44명의 경제학자 중 82%가 크리스 월러(Chris Waller) 연준 이사를 이상적인 차기 의장 후보로 꼽았다. 하지만 정치적 이유로 케빈 해셋(Kevin Hassett)이 실제 의장직을 차지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경제학자들은 크리스 월러의 독립성과 중앙은행 전문가로서의 능력을 높이 평가했다. 그러나 그의 실제 임명 가능성은 20%에 불과했다. 반면 케빈 해셋 국가경제위원회(National Economic Council, NEC) 위원장은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전 대통령의 강력한 정치적 지지를 바탕으로 39%의 응답자에게 유력 후보로 평가됐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연준에 기준금리를 1%까지 인하하라고 지속해서 강하게 요구했다. 또한 현재 의장인 제롬 파월(Jerome Powell)을 공개적으로 비난하며, 차기 의장의 조건으로 자신의 정책에 대한 충성심을 강조해왔다. 그는 크리스 월러, 케빈 해셋, 그리고 케빈 워시(Kevin Warsh) 전 연준 이사를 주요 후보로 거론하며 압박을 이어가고 있다.
이에 대해 존스 홉킨스 대학(Johns Hopkins University)의 로버트 바베라(Robert Barbera) 교수는 크리스 월러가 신뢰할 수 있는 중앙은행 전문가라고 평가했다. 하지만 그의 강한 독립성 때문에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임명 기준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반대로 케빈 해셋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경제 정책을 강하게 옹호하며 정치적으로 유리한 입지를 확보하고 있다.
최근 스티브 미란(Steve Miran) 연준 이사도 후보로 떠올랐다. 그러나 경제학계 내 지원이 부족해 주요 경합 후보로 자리 잡지는 못했다. 차기 연준 의장은 낮은 고용 성장률, 스태그플레이션 위기,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등 복잡한 경제적 도전에 직면할 전망이다.
연준은 최근 기준금리를 0.25%p 인하해 4.00~4.25%로 조정했다. 하지만 트럼프 전 대통령은 더 큰 폭의 금리 인하를 지속해서 요구하고 있어 정책적 갈등이 예상된다.
경제학계는 이 같은 상황을 주의 깊게 주시하고 있다. 따라서 차기 연준 의장이 정치적 압박과 경제적 독립성 사이에서 어떻게 균형을 잡을지가 주요 시험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최신소식을 메일로 받아보세요.